
Q) 다음 중 변실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세요.
1) 변실금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성인에게만 나타나는 질환이다.
2) 절박성 변실금은 신경이 손상되었거나 의지로 조절이 불가능한 근육인 항문내괄약근이 손상된 것을 의미한다.
3) 변실금의 범위는 방귀를 배출하는 동안에 대변이 새는 것부터 배변 조절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4) 항문직장 내압 검사(anorectal manometry)는 항문 괄약근의 압력만 측정하는 검사로, 배변에 관여하는 신경학적 및 생리학적 기전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없다.
변실금은 여성과 노인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로 65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게 나타납니다.
4세 이상의 환자가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변실금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염, 방사선치료, 염증성 장질환, 중추신경계 이상, 괄약근 손상, 선천적 기형과 노화, 변비약 남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변실금은 절박성 변실금과 수동적 변실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절박성 변실금은 신경은 정상이나 의지로 조절이 가능한 근육인 항문외괄약근이 손상된 것이고, 수동적 변실금은 신경이 손상되었거나 의지로 조절이 불가능한 근육인 항문내괄약근이 손상된 것입니다.
따라서 절박성 변실금 환자의 경우 변이 나오는 것을 인지하지만 참지 못하고, 수동적 변실금 환자는 변이 나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변실금의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일상생활에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항문 초음파(anal endosonography, 항문직장 내압 검사(anorectal manometry), 배변 조영술(defecography), 음부신경 말단운동근 잠복기 측정법(pudendal nerve terminal motor latency)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항문직장 내압 검사(anorectal manometry)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항문 내 압력을 측정하고, 항문 괄약근의 기능을 객관적, 정략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법으로, 항문과 직장벽의 수축에 따른 내압의 변화를 기록하여 배변에 관여하는 신경학적 및 생리학적인 기전을 검사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대장항문학회 [기초의학정보] - 변실금
정답은 3)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