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다음 중 요로결석의 수술적 치료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일까요?
1) 경피신결석제거술은 결석의 크기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단시간에 결석을 제거할 수 있어, 2cm 이상의 신결석이나 신녹각석 등에 주로 시행된다.
2) 조절되지 않은 요로 감염이나, 요관신장경의 진입이 어려운 요관협착이 있을 때는 경요도결석제거술을 반드시 시행해야만 한다.
3) 2000년대 이후 요로결석 치료법으로 개복수술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4) 경피신결석제거술은 다른 내시경 수술과 비교하여 수술 후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며 장기 손상의 위험이 낮다.
체외충격파쇄석술로 파쇄가 되지 않는 단단한 결석이나 크기가 큰 결석, 신하극에 위치하여 파쇄 후에도 배출이 잘되지 않는 결석 등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시행됩니다.
체외충격파쇄석술 및 내시경 수술이 도입된 1980년대 이전에는 요로결석 수술은 대부분 개복수술로 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긴 수술 시간 및 회복 기간과 수술 후 환자의 통증 부분에서 큰 단점이 있어 현재 대부분의 요로결석 수술이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경요도결석제거술(transurethral lithotripsy)은 요도결석부터 방광, 요관 및 신결석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위의 요로결석에 시행 가능한 수술법입니다.
요관결석의 경우 결석의 크기나 위치에 따른 경요도결석제거술의 제한은 없으나, 조절되지 않은 요로 감염이나, 요관신장경의 진입이 어려운 요관협착이 있는 경우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통상적인 경피신결석제거술에 사용되는 신장경(24Fr)은 요관신장경에 비해 내시경의 외경이 크고 내부 채널의 직경이 커서 큰 신결석에서 비교적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개복술과 비교하였을 때 최소 침습성, 짧은 수술시간 및 회복기간 등의 장점으로 과거 개복술로 시행되던 대부분의 경우를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신장의 실질을 관통하여 수술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다른 내시경 수술과 비교하여 수술 후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에 속하며, 드물게 늑막, 간, 비장, 장손상 등과 같은 주위 장기손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처 : Surgical management of urinary stone (2020)
정답은 1)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