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이 꽃의 이름은 '영원히 피고 지지 않는 꽃'이라는 뜻입니다. 7월 초부터 10월 초까지 약 100일간 계속해서 피고 지며, 아침에 일찍 피었다가 해가 지면 떨어지는 이 꽃은 무엇일까요?
1) 무궁화
2) 나팔꽃
3) 금계국
4) 금잔화
평균적으로 한 그루에 2천~3천여 송이가 피고, 옮겨 심거나 꺾꽂이를 하더라도 잘 자라며 공해에도 강한 특성을 보입니다.
그리하여 우리 민족의 근면과 끈기를 나타내는 대표 꽃으로 표현됩니다.
무궁화(無窮花)는 식물분류학적 분류로, 쌍자엽식물강-아욱목-아욱과-무궁화속-무궁화에 속합니다.
원산지는 동북아시아 지역이고 아시아와 유럽, 아메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무궁화가 많은 곳’이란 뜻으로 근역(槿域) 또는 근화향(槿花鄕)이라 불렀고, 고대 중국의 지리서를 비롯한 다양한 자료에서 우리나라를 군자국(君子國)으로, 우리 국토를 무궁화동산으로 묘사합니다.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무궁화는 조선 말 개화기를 거치면서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란 노랫말이 애국가에 포함된 이후 더욱 국민들의 사랑을 받게 되었고, 무궁화에 대한 우리 민족의 한결같은 사랑이 일제 강점기에도 계속되어, 독립투사들에 의해 독립 정신과 민족 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광복 후에 무궁화가 자연스럽게 나라꽃으로 자리 잡았고,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 정식으로 국가(國歌)가 제정되며, 무궁화 역시 자연스럽게 국화로 인식되었습니다.
출처 : 산림청 [도시숲/무궁화] - 무궁화 특성이해
정답은 1)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