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이트 퀴즈정답/인터엠디 퀴즈 정답

2025년 2월 3일 인터엠디 퀴즈 정답 "다음 속담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00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 00 거꾸로 붙였나 / 00에 장독(오줌독) 깨진다"

닥터리의 리키피디아(Leekipedia) 2025. 2. 3. 08:08
728x90

Q) 다음 속담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00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 00 거꾸로 붙였나 / 00에 장독(오줌독) 깨진다

1) 개춘 (開春)

2) 입춘 (立春)

3) 소한 (小寒)

4) 우수 (雨水)

새해의 첫째 절기인 입춘(立春)에 조상들은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며 앞으로의 일년 동안 대길하기를 기원하고 입춘하례, 입춘굿 등 다양한 의례를 진행했습니다.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는 입춘 무렵의 늦추위는 빠짐없이 꼭 온다는 의미의 속담이고, '입춘 거꾸로 붙였나'는 입춘이 지났음에도 날씨가 몹시 추워진다는 뜻의 속담입니다.

'입춘에 장독(오줌독) 깨진다'는 속담은 입춘 무렵의 추위가 매서워 장독(오줌독)이 얼어서 깨진다는 의미입니다.

- 개춘(開春) : 이른 봄, 주로 음력 정월을 이르는 말입니다.

- 소한(小寒) : 24절기 중 23번째 절기로, 양력 1월 5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합니다.

- 우수(雨水) :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으로, 추운 겨울이 가고 봄을 맞게 되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에 듭니다.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입춘

정답은 2)번 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