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NuYfk/btsL4QxHDAS/tyGkoYvKQqL65c6Kez85oK/img.png)
Q) 다음 중 '기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세요.
1) 일차성 자연기흉은 질병이 없는 30대부터 50대의 키가 작고 마른 여성에게 잘 발생한다.
2) 이차성 자연기흉은 일차성 자연기흉에 비해 비교적 나이가 어린 사람에게서 쉽게 발생한다.
3) 기흉이 양쪽에 발생한 경우, 반대편 폐에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흉관삽입술을 시행해야 한다.
4) 월경성 자연기흉은 호르몬 환경의 변화나 자궁내막증 등에 의한 것으로, 임신이나 경구피임약 복용 등으로 배란이 일어나지 않을 때에도 발생한다.
'일차성 자연기흉'은 질병이 없는 10대부터 30대의 키가 크고 마른 남자에서 잘 발생하는데, 이는 성장 과정에서 폐의 윗부분이 폐혈관의 성장에 비해 더 빠르게 성장하면서 혈액공급이 부족해져서 발생하거나 폐 윗부분의 폐포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차성 자연기흉'의 경우 일차성 자연기흉에 비해 비교적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서 발생하고 천식이나 폐렴 등 기존 폐질환이 있던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기흉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인 '흉관삽입술'은 기흉의 크기가 큰 경우(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폐가 벽에서 2cm 이상 쪼그라든 경우), 긴장성 기흉인 경우,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기흉이 양쪽에 발생한 경우, 반대편 폐에 질환이 있는 경우,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기흉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시행해야 합니다.
만약 흉관삽입술을 시행한 후에도 공기가 계속 새면 약품을 투여하여 흉막에 염증을 일으켜 공기가 새는 부위를 막는 '화학적 흉막유착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월경성 자연기흉'이란 20~30대 여성에서 발생하는 자연기흉을 의미하며 보통 월경 시작 후 48~78시간 이내에 발생하고 90% 이상 우측에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임신이나 경구피임약 복용 등으로 배란이 일어나지 않을 때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 기흉
정답은 3)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