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Q) 영하의 온도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방울이 물체와 만나 생기는 것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나무나 풀에 내려 눈처럼 된 서리를 의미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1) 상고대
2) 고드름
3) 서릿발
4) 우박
서리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땅 위의 물체 표면에 얼어붙어 하얗게 보이는, 수증기가 승화하여 생기는 기상현상을 의미합니다.
'상고대'는 서리가 나무나 풀, 바위에 붙어서 어는 것을 뜻하며, 유리나 벽 등에 수증기가 얼어붙은 것은 '성에'라고 합니다.
'고드름'은 지물의 끝에서 물이 떨어지면서 동결면을 따라 물이 얼어 아래쪽으로 뻗어나가 늘어진 막대기 모양이 된 얼음을 의미합니다.
'서릿발'이란 땅속 수분이 지면이나 땅속에서 동결 또는 승화하여 생긴 수많은 기둥 모양의 얼음을 의미합니다.
'우박'이란 구름 내의 작은 구름물방울이 구름빙정입자에 충돌, 결착되어 생기는 얼음덩어리를 의미합니다.
출처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상고대
정답은 1)번 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