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정보/피부

옴(Scabies)의 증상, 임상요약, 피부소견, 진단, 치료(유락신, 린단, 오메크린), 치료기간, 전염력, 연고바르는방법, 옴진드기, 수도(burrow), 개옴

닥터리의 리키피디아(Leekipedia) 2023. 6. 30. 21:54
728x90

옴(Scabies)은 옴진드기(Sarcoptes scabies)가 피부에 기생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개선(芥蘚)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입니다.

증상

  • 밤 특히 취침 직후에 심해지는 소양증(가려움증)이 특징입니다.

임상 요약

  • 옴(개선증)은 진드기목에 속하는 마이트(Mite)란 벌레가 피부 각질층에 감염되어서 생기는 일종의 피부 기생충 질환입니다.

출처 : Picryl.com

  • Sarcoptes scabiei는 4쌍의 발을 가지고 있으며, 암컷은 육안으로 관찰이 될 정도로 크고 매일 5mm 정도씩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 Wikimedia Commons

  • 감염된 성인에서 평균적으로 10 ~ 12개의 성충이 기생한다고 합니다.

  • 옴진드기는 난원형으로 회백색이고 다리와 악체부는 갈색입니다. 일반적으로 옴환자에서 옴 진드기 암수의 비는 약 10:1로 암컷이 많습니다.

  • 암컷은 4~6주간 생존하며 40~50개의 알을 낳는데, 알은 3~4일 후 유충으로 분화하고 약충시기를 거쳐 10~14일 후 성충이 됩니다.

  • 수도(burrow)라는 특징적인 병변을 보입니다.

  • 옴은 감염된 사람과 피부 접촉, 침구, 의류 등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 옴에 감염되면 가려움증이 심하게 유발되는데 이는 옴의 배설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과민반응)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에 말씀드린대로 옴은 피부에 굴을 뚫어 하루 5mm 정도씩 이동하는데 옴진드기 벌레는 야행성이기 때문에 밤에 더욱 가려움증을 느끼는 것이 특징입니다.

  • 초기에는 수도(burrow) 주위에만 가려움증이 있으나 후기에는 전신적으로 가려움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심한 가려움으로 너무 많이 긁어서 습진(eczema)이 되거나 2차성 세균감염으로 병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 최근에는 애완용 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많아지며 개(고양이는 상대적으로 드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에게 기생하는 옴(Sarcoptic mange)이 사람에게 옮겨지는 경우도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개가 옴에 감염되면 개의 귀, 다리 및 복부의 털이 빠지게 되며 전염력이 매우 강합니다. 이 경우 증상은 사람의 옴보다 경하다고 하며, 이때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감염이 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피부소견

  • 약간 융기되어 있는 회색이나 암갈색의 휘어진 또는 곧은 선상의 병변이 나타나며 이를 수도(burrow)라고 합니다. 이것은 옴이 피부에 굴을 파고 이동한 터널의 흔적입니다.

출처 : Wikimedia Commons

  • 수도(burrow)는 손가락 사이, 손목의 굴측부에서 흔히 발견되며, 그 외에 팔꿈치의 신전부, 겨드랑이, 유두, 남자의 성기나 배꼽 주위 등에서도 관찰됩니다.

출처 : Wikimedia Commons

  • 유소아에서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생기기도 하며, 수도(burrow)의 한 끝에 수포(물집) 또는 농포(고름집)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영아에서는 좀 더 큰 수포성 발진이 보이기도 합니다.

  • 남자에서는 귀두와 고환의 결절성 병변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음낭에 소양성 결정이 수도보다도 더 흔히 나타나며 치료후에 서서히 없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 2차성 변화로 전신적인 두드러기성 구진, 피부 발탁, 습진성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세균에 감염되면 2차적으로 농가진(impetigo)나 절종(furuncle)으로 나타납니다.

  • 개옴에 감염되면 구진 및 수포가 많이 생기며, 주로 체간, 팔, 혹은 복부에서 나타납니다.

진단

  • 수도(burrow)나 구진이 있는 부위에서 옴과 진드기의 알 혹은 유충, 암갈색의 배설물을 찾아내거나 조직생검(biopsy)을 실시해서 진단합니다.

출처 : sml.sl.no

  • 수도와 구진은 주로 손가락 사이, 손목의 굴곡부, 손목의 척골부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출처 : Wikimedia Commons

  • 국소적으로 의심되는 부위에 tetracycline을 도포하여 3분간 건조시킨 후 씻어내고 Wood 등으로 보면 형광을 띠는 수도(burrow)를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치료

  • 치료 연고나 겔을 목에서 발끝까지 골고루 도포하는데, 유아에서는 머리나 얼굴도 포함해서 발라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 가족 중 한 사람이 감염되면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가족이 같이 치료 받는 것이 원칙입니다.(환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도 포함)

  • 약물 치료 후 1주 및 4주 후에 효과를 판정합니다.

  • 내복과 침구는 약을 바르는 동안(2일) 같은 것을 사용하고 세탁 후에는 3일간 사용하지 않습니다.(입었던 내복과 사용한 침구를 버리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입니다.)

  • 흔히 사용하는 약제로는 1% Gamma-benzene hexachloride 로션, Crotamiton 연고, Benzyl benzoate 용약, 5% Permethrin 연고 등이 있습니다.

유락신연고 50g(Crotamiton, 녹십자) 출처 : 약학정보원

유락신연고 50g

가볍게 목욕을 한 후 취침 전 얼굴과 두피를 제외한

몸 전체에 바르고 가볍게 마사지한 후 다음날 씻어낸 후 1회 반복(총 2일간)

신신린단로오숀(Lindane, 신신제약) 출처 : 약학정보원

신신린단로오숀

씻은 후에 피부를 건조시키고 목에서 발 끝까지 얇게 바른 후

8-12시간 후에 물로 완전히 씻어낸다.

(로오숀의 경우 대부분 1회 요법으로 치료된다.)

오메크린크림 30g(Permethrin, 대웅제약) 출처 : 약학정보원

오메크린크림 30g

머리부분을 제외한 몸 전체에 마사지하듯이 펴바르고

12-14시간 후에 물로 깨끗이 씻어낸다.

(보통 1회 요법으로 치료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