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있는 부모님들이라면
요즘 아이들은 뭐든지 빠르다.
라는 말을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하지만 빠르다는게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특히 2차 성징과 같은 사춘기 증상이 너무 빠르면 성장이 너무 빨리 멈추게 되어 최종키가 작아지는 등 부작용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성조숙증이란 무엇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 진단과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 치료시에 부작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성조숙증의 정의
- 사춘기는 인간의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하나로서, 2차 성징이라고도 부릅니다.
(제1차 성징은 출생시부터 나타나는 명확하게 나타나는 성기의 구조적 차이를 말하며, 제2차 성징은 사춘기에 나
타나는 성적 특징을 말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64WB/btsgGjicloD/xIDTWx5uaai3gA0mkpBLak/img.png)
출처 : pexels.com
- 하지만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성조숙증으로 2차 성징, 즉 사춘기의 시작이 평균치의 2표준편차보다 빨리 나타나는 경우를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 남아 : 만 9세 미만, 여아 : 만 8세 미만에서 사춘기의 시작, 2차 성징이 나타나면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 2차 성징은 여아에서는 유방이 발달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남아에서는 고환의 용적이 커지고 음낭의 색이 변색되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대개는 고환의 용적이 4mL이상 또는 길이가 2.5cm 이상으로 커지는 것으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nIrG/btsgJ1n6uOv/j3MlqgEIw6Lkg6WG5bvIt0/img.png)
출처 Flickr
2. 성조숙증의 원인
성조숙증의 원인은 여아와 남아에서 차이가 나는데요
- 여아의 경우 80 ~ 95%가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idiopathic) 성조숙증(진성성조숙증)입니다.
- 남아에서는 50%에서 원인 질환이 발견됩니다.
- 원인 질환으로는 뇌종양, 선천성 뇌기형, 수두증, 뇌염 및 뇌농양, 갑상선 기능 저하증, 난소 및 고환이나 부신의 질 등이 있으며 성호르몬이나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약물의 사용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특정 식품, 특히 콩류 식물에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이러한 물질이 사춘기 시작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하지만 여러가지 환경호르몬이 사춘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가능성은 제기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qqqqk/btsgC3uagqK/tzVvjf2Dk1dJWgmBssdgGk/img.png)
출처 : Store norske leksikon
- 따라서 식이요법으로 성조숙증이 예방되지는 않으며, 특정 식품에 대한 과도한 염려 및 조절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 비만이 심한 어린이에서 사춘기 진행이 빠른 경향이 있으나 비만한 어린이라고 해서 모두가 사춘기가 빠른 것은 아니며, 비만하지 않은 아이에서도 성조숙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3. 성조숙증의 진단
- 우선 성조숙증의 의심되는 경우 의사의 문진과 진찰을 통하여 2차 성징이 진짜로 시작되었는지를 평가해야 합니다.(위에서 설명한 대로 남아는 만 9세 미만, 여아는 만 8세 미만이 기준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kGaBt/btsgGkg4xJ5/8SfMFHoJqhGOP7GtnhNmWk/img.png)
출처 Pixabay.com
- 성조숙증의 진단과 진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병력, 신체진찰, 골연령(뼈나이)검사 및 성호르몬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w50M/btsgDhsLaX3/Lsc9USTpt4qobYnVgf7zD1/img.png)
출처 Wikimedia commons
- GnRH(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 생식샘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진성성조숙증의 확진을 위한 검사입니다.
LH가 5.0 IU/L 이상으로 증가하면 진성성조숙증으로 진단합니다.
- Brain MRI(뇌 MRI), 복부, 골반, 고환 초음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처음 검사할 때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단계가 아니었다고 하더라도 수개월만에 치료가 필요한 단계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기적인 검사 및 진찰이 필요합니다.
4. 성조숙증의 치료
- 성조숙증 치료의 주요 목적은 1) 사춘기 발달을 또래와 맞추고 2) 최종 성인 키의 손실을 최소화 하며 그로 인한 3) 정신사회적인 문제를 줄이는 것입니다.
- 여아는 만 9세 전(만 8세 364일까지), 남아는 만 10세 전(만 9세 364일까지)까지 성조숙증 치료를 시작해야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 가능한 한 일찍 진단 후 치료가 이루어져야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또한 꾸준한 치료가 필수적이며, 불규칙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 오히려 사춘기 발현을 자극하여 앞당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치료기간은 통상 2 ~ 5년이며, 진단 받았을 때의 연령과 골연령이 진행된 정도에 따라 치료기간이 달라집니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성조숙증 치료제로 사용허가된 GnRHa(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 - 생식샘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작용제 는 성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여 치료효과를 나타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jPaE/btsgEKm3PCw/GUJmhVsEcCMwh1ehwdo3NK/img.png)
루프린 주 [3.75mg] Leuplin inj. 3.75mm(출처 : 약학정보원)
![](https://blog.kakaocdn.net/dn/bfBTbS/btsgL9MWuMd/e0I4LU85rN5YXGrfvZKUz0/img.png)
디페렐린피알 3.75mg주 Dipherelin PR inj.3.75mg(출처 : 약학정보원)
![](https://blog.kakaocdn.net/dn/bh9ZhY/btsgL9e6sf6/sYRAXDu0VjgHWo5eVG7GhK/img.png)
데카펩틸데포주 Decapeptyl Depot inj.(출처 : 약학정보원)
![](https://blog.kakaocdn.net/dn/Jn2NE/btsgCBYY8Yh/qQLuO2vkhxKG60LSRZMlaK/img.png)
로렐린데포주사 Lorelin Depot inj.(출처 : 약학정보원)
![](https://blog.kakaocdn.net/dn/djuEBq/btsgDh0z2t9/7QJO7O6gNmaDSkFr05iGi0/img.png)
루피어데포주 3.75mg Luphere Depot inj.(출처 : 약학정보원)
- 이를 매 4주 혹은 12주 간격으로 팔이나 엉덩이에 피하 또는 근육주사(SC or IM)합니다.
- 치료 중 3 ~ 6개월 간격으로 성성숙도와 성장을 평가하고, 골연령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합니다.
5. 성조숙증 치료의 부작용
환자를 보다보면 아무래도 부모님들께서는 성조숙증 치료의 부작용에 대해서 많은 걱정을 하시게 되는데요.
- GnRHa 치료는 대부분 심각한 유해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전문의의 지속적 관찰을 필요로 합니다.
- 두통, 안면홍조와 같은 전신 증상이 가끔 발생하지만, 보통 일시적이며 치료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 장기적인 생식 능력에 대한 평가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예비관찰연구결과는 특별한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치료 종료 후에는 치료 받지 않은 정상인과 동일한 성호르몬분비능력, 자궁발달, 임신 능력을 보입니다.
- 성장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거나 최종 키에 대한 예후가 불량한 경우 보조치료로 성장호르몬 치료를 병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내분비 파트 전임의 강의자료(지면에 싣는 것을 허락 받았습니다.)
'의학정보 > 소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비만과 성조숙증(소아비만과 환경호르몬) (0) | 2023.05.09 |
---|---|
성조숙증 주의보, 환경 호르몬을 주의하라!(비스페놀, 프탈레이트, DDT/DDE)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