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음 속담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는 무엇일까요?00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 00 거꾸로 붙였나 / 00에 장독(오줌독) 깨진다1) 개춘 (開春)2) 입춘 (立春)3) 소한 (小寒)4) 우수 (雨水)새해의 첫째 절기인 입춘(立春)에 조상들은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며 앞으로의 일년 동안 대길하기를 기원하고 입춘하례, 입춘굿 등 다양한 의례를 진행했습니다.'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는 입춘 무렵의 늦추위는 빠짐없이 꼭 온다는 의미의 속담이고, '입춘 거꾸로 붙였나'는 입춘이 지났음에도 날씨가 몹시 추워진다는 뜻의 속담입니다. '입춘에 장독(오줌독) 깨진다'는 속담은 입춘 무렵의 추위가 매서워 장독(오줌독)이 얼어서 깨진다는 의미입니다.- 개춘(開春) : 이른 봄,..